로런스 콜버그(Lawrence Kohlberg)는 뉴욕에서 태어나 시카고 대학에서 배우는 과정에서 인지 발달 이론의 선구자인 장 피아제의 영향을 받았으며, 인간의 도덕성 발달에 대한 이론으로 유명한 심리학자입니다. 그의 이론은 아동과 청소년, 성인의 도덕적 사고와 행동을 설명하고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은 피아제와 제자 이르겐의 영향을 받아 더욱 발전하며, 그는 도덕적 판단의 발달 단계와 이를 형성하는 과정에 관한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콜버그는 선악 수준, 규범 준수 수준, 후천적 수준으로 구분되는 도덕성 발달의 단계들을 제안하였습니다. 이 단계들은 사람들이 어떻게 도덕적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지를 설명하며, 더 높은 수준으로 발달함에 따라 도덕적 판단이 어떻게 변화하는 지를 보여주며 도덕적 사고와 판단의 발달을 이해하는 데 큰 기여를 했습니다.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
도덕성의 발달 이론에서 도덕성의 인지를 중요시 여기고 우선 도덕의 요소를 인지할 것을 강조하며 사회, 도덕, 심미적 영역에서도 도덕적 인지가 필요하다고 하였습니다. 콜버그는 도덕적 딜레마가 사회적 경험과 대인 관계에서 발생 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도덕적 딜레마를 해결 하는 것이 개인의 도덕적 단계를 구분 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이 이론은 주로 세 개의 발달 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계는 보편적인 도덕적 이치에 대한 사고의 발달을 나타냅니다. 이 단계들은 또한 세 개의 주요 수준으로 구분됩니다.
- 선악적 수준(Preconventional Level)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의 첫 번째 수준으로, 개인들이 도덕적인 판단을 외부적인 보상과 벌을 통해 결정하는 단계입니다. 이 수준은 주로 어린 아이들과 어린 청소년들이 보이는 특징적인 도덕적 사고 방식을 나타냅니다.
1단계인 '순종과 처벌 회피'에서 어린 아이들은 어떤 행동이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판단되면 그 행동을 회피하려고 하는데, 개인이 처벌을 피하거나 이익을 얻기 위해 규칙을 따려 하는 단계입니다.
2단계인 '이해관계와 보상'에서는 개인은 다른 사람들의 이익을 얻거나 자신의 이익을 교환하는 관점에서 행동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아이들이 타인과의 관계에서 이익을 교환하거나 보상을 받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이 단계는 아동의 도덕성 발달에서 초기 단계이며, 성장과 경험을 통해 더 복잡하고 체계적인 도덕적 사고로 진화하게 됩니다.
- 규범준수 수준(Conventional Level)
도덕성 발달 이론의 두 번째 수준으로 3, 4단계의 과정으로, 개인들이 주변 사회의 규범과 기대에 따라 행동하려고 노력하는 단계입니다. 이 수준은 대부분의 청소년과 성인들이 나타내는 도덕적 사고 방식을 다루며, 사회적 규범과 관계에서의 도덕성을 중요시하는 특징을 보입니다.
3단계인 '상호 관계와 공감'에서 개인은 타인과의 관계에서 상호작용을 중요하게 여기며, 상대방의 감정과 입장을 이해하려고 노력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유지하고 상호 적인 방식으로 소통하려는 욕구가 강조됩니다.
4단계인 '사회 질서 유지'에서는 개인들이 사회적 질서와 법, 규칙을 준수하는 것을 중요시합니다. 개인은 사회적 규범과 질서를 유지하며 사회적인 안전과 안정을 위해 노력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개인의 행동이 사회 전체의 안정과 균형에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이 강조됩니다.
규범 준수 수준은 개인들이 주변 사회와의 관계와 사회적 규범을 중요시하며, 이를 바탕으로 행동하는 단계로서 도덕적인 판단을 사회적 환경에 맞추는 것을 강조합니다. 이 수준은 사회적 규범을 준수하고 타인과의 관계에서 공감을 통한 상호작용을 중시하는 성장 과정을 나타냅니다.
- 후천적 수준(Postconventional Level)
이 이론의 최종 수준으로, 이 수준은 더욱 복잡하고 추상적인 도덕적 사고를 다루며, 개인의 도덕적 판단이 더욱 철저하고 민첩한 방식으로 형성됨을 나타냅니다.
5단계인 '사회 계약과 법'에서 개인은 사회적 계약과 공정한 절차를 중요시하며, 법과 규칙을 따르는 것을 강조하지만 동시에 더 큰 사회적 이익과 공정함을 위해 노력합니다. 개인은 사회적 관계와 이익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판단을 내립니다.
6단계인 '범인 중심의 윤리 원칙'에서는 개인은 보다 포괄적이고 추상적인 도덕적 원리에 따라 행동하려는 노력을 보입니다. 개인의 판단은 법과 규칙을 넘어서 사회적 가치와 개인의 원리에 근거하여 형성됩니다. 이 단계에서는 개인의 도덕적 판단이 보다 복잡하고 포괄적이며, 더 큰 사회적 이익과 공정함을 추구하는 방식으로 나타납니다.
이 수준은 개인의 도덕적 판단이 자율적이고 민첩한 방식으로 형성되며, 사회적 규범과 법을 넘어서 더 큰 도덕적 원리와 가치를 고려하는 성장 과정을 나타냅니다.
마무리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은 이러한 발달 단계를 경험하며 성장하는 과정을 강조합니다. 이론은 주로 청소년과 성인에 적용되며, 도덕적 판단의 복잡성과 다양성을 반영합니다. 하지만 이 이론에서는 다양한 문화적 배경과 개인의 도덕적 선택에 대한 유연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있습니다.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은 도덕적 사고와 행동의 복잡한 과정을 탐구하는 데 기여하였으며, 그의 연구는 도덕 교육과 심리학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그러나 한계와 비판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이론은 사회적 맥락과 문화적 다양성을 더욱 반영하며 발전되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인간의 발달 과정과 과업 수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 발달의 원리: 레프 비고츠키((Lev Vygotsky) (0) | 2023.08.27 |
---|---|
인간 발달의 원리: 장 피아제(Jean Piaget) (0) | 2023.08.25 |
인간 발달의 원리 : 에릭 홈부르거 에릭슨(Erik Homburger Erikson) (0) | 2023.08.24 |
인간 발달의 원리: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 (0) | 2023.08.21 |
인간 발달의 원리 (0) | 2023.08.21 |